4차 산업혁명, 5G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보건의료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이용한 가치기반의 의료서비스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데이터 경제가 실현되면 인공지능(AI), 헬스케어, 바이오,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핵심 산업 성장 기반 마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처럼 새로운 변화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2018년 12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의무기록사의 명칭이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 변경되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데이터 경제 시대를 이끄는 핵심 동력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중요성이 더욱 더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역할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개정된 법령 등으로 수정・보완하여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이해력을 돕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현장실무 중심의 사례를 수록하였다.
<목차>
1장 보건의료체계
2장 보건의료정보시스템
3장 보건의료정보관리 개요
4장 의무기록 내용 및 서식관리
5장 전자의무기록
6장 보건의료정보 표준
7장 보건의료데이터의 질 관리
8장 보건의료정보의 이용과 보호
9장 보건의료정보관리 관련 법
10장 보건의료조직관리
11장 보건의료데이터 관리 및 거버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