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기관 |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U07.1 코로나 바이러스 질환 2019」 명칭 변경 및 코드 추가 신설 등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3-23 19:20 조회10,908회관련링크
본문
통계청에서는 국내 관련 정책수립과 통계작성 등을 위한 정보 수집의 지원을 위하여 코로나-19와 관련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이하 ‘KCD') 적용 등을 아래와 같이 문서로 알린 바 있습니다.
* 관련문서
· 통계청 통계기준과-176 (‘20.01.2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 적용 알림」
· 통계청 통계기준과-242 (‘20.02.0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 등 적용 변경 알림」
· 통계청 통계기준과-393 (‘20.02.18.)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중 「U07.1 2019-nCoV 급성 호흡기 질환」의 명칭 변경 알림」
이후, 세계보건기구(이하 'WHO')에서 국제질병분류(이하 'ICD')에 코로나-19에 대한 검사실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등의 정보 수집을 위해 코드를 신설한 바, 통계청에서 아래와 같이 KCD 수록 내용을 알려왔습니다.
이에 회원분들께 안내드리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코로나-19의 KCD내 추가 코드 신설과 명칭 변경, 용어설명 수록 변경(밑줄) 내용>
국문 | 영문 |
U07.1 바이러스가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 [바이러스가 확인된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코로나-19]가 임상징후 또는 증상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검사실 검사에 의해 확인된 경우에 이 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폐렴 또는 기타 증상의 분류를 원한다면, 부가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제외: 상세불명 부위의 코로나바이러스 (B34.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코로나바이러스(B97.2) 상세불명의 중증급성호흡증후군[SARS] (U04.9) | U07.1 Coronavirus disease 2019, virus identified [COVID-2019, virus identified]
Use this code when COVID-19 has been confirmed by laboratory testing irrespective of severity of clinical signs of syndrome.
Use additional code, if desired, to identify pneumonia or other manifestations.
Excludes: Coronavirus infection, unspecified site (B34.2) Coronaviru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B97.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unspecified (U04.9) |
U07.2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코로나-19]가 임상 또는 역학적으로 진단되었지만, 검사실 검사가 확정적이지 않거나 불가능할 경우에 이 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폐렴 또는 기타 증상의 분류를 원한다면, 부가분류번호를 사용할 것.
제외: 코로나-19: 검사실 검사에 의해 확인된 (U07.1) 상세불명 부위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 (B34.2) 특수선별검사 (Z11.5) 의심되었지만 검사실 결과 음성에 의해 배제된 (Z03.8) | U07.2 Coronavirus disease 2019, virus not identified [COVID-2019, virus not identified]
Use this code when COVID-19 is diagnosed clinically or epidemiologically but laboratory testing is inconclusive or not available.
Use additional code, if desired, to identify pneumonia or other manifestations.
Excludes: COVID-19: confirmed by laboratory testing (U07.1) Coronavirus infection, unspecified site (B34.2) special screening examination (Z11.5) suspected but ruled out by negative laboratory results (Z03.8 |
* 코로나바이러스 질환 2019로 확진된 경우 외 ‘제외’와 같이 비감염자로 확진된 경우나 감염 여부에 대한 선별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등의 KCD 적용은 통계기준과-176 (‘20.01.28. 시행) 문서를 참조바람.
※ 유의사항
- ICD의 구성체계 원칙상 ‘U07'의 범주는 응급 사용을 위하여 WHO의 지시에 의해 즉시 사용될 수 있는 분류항목군에 수록되어, 이후 WHO의 추가적인 결정에 따라 다른 대분류장의 특정 코드로 변경 될 수 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