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목적
-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세분화된 영역에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갖춘 전문보건의료정보관리사를 양성 및 배출
- 암등록 분야의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역량에 대한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기관이나 개인에게 전문적 역량을 갖춘 인력을 선택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제공
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직무
- 암환자의 모든 의료 정보를 검토하여 중앙암등록본부 및 각 임상분야에서 또는 국가기관이나 관련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암정보들을 수집하여 정보화하는 작업을 이행
- 지침에 따라 암등록 대상을 정확히 구분하며 최초 진단일, 암발생부위, 조직학적진단명, 분화도, 진단방법, 병기, 치료방법, 사망정보, 입퇴원정보 외에 암종별 특이 정보등을 수집
- 수집된 자료를 정보화하여 관계 기관에 보고 및 이용/활용/제공하고 각종 통계와 분석 자료들을 산출하여 보고
응시자격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면허를 소지한 본회 회원으로서 암등록 분야 교육을 이수하고 전문가 인정 시험에 합격하여 본회가 발급하는 인정서를 부여받은 자
- 암등록 분야 교육
- 중앙암등록 본부의 암등록 교육에서 초급 이상 수료(1점)
- 중앙암등록 본부의 암등록 교육에서 중급 이상 수료(3점)
- 지역 암등록 본부에서 시행하는 암등록 교육(1점)
- 본회 온라인 교육센터에서 제공하는 암등록 관련 교육(과목당 1점)
-
기타
- 본회에서 인정할 수 있는 미국 암등록 협회(NCRA),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AHIMA), 북미중앙암등록협회(NAACCR) 등 외국 암등록 기관에서 이수한 암등록 교육
응시방법
- 시험 공고 시 응시원서 접수기간 내에 응시원서 등 제출서류를 구비하여 본회로 제출
- 시험 공고 시 공지된 응시료를 응시원서 접수기간 내에 납부
시험 과목
유형 |
과 목 |
문항수 |
시험시간 |
필기 |
1.암등록 업무의 관리와 운영 |
50 |
1시간 |
2.암등록 이론 |
3.데이터 분석과 해석 |
실기 |
4.암등록 코딩 실기 |
20 |
1시간 |
|
문항수 |
70 |
|
합격 사정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항목을 합하여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인 경우 합격,
다만, 실기시험 100점 만점 중 정답률이 최저 40% 미만인 경우 불합격
인정서 유지
암등록 전문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인정서 효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매년 2평점 이상의 보수교육 이수
시험 시행 이력
구분 |
일정 |
합격률 |
제1회 |
2019년 8월 24일(토), 시청한화센터 6층 드림6 |
94.5% |
제2회 |
2023년 2월 26일(일), G밸리원광디지털대센터 4층 대강의장 |
86.8% |